한 학기 한 권 읽기, 정규 수업에서 독서 교육하기
이 책은 전국국어교사모임 중 한 분과의 교사들이 학교 수업에서 실천한 것을 서로 공유한 결과물이다.
열 가지 독서교육 방법이 소개되어 있다. 책 읽는 것을 좋아하는 학생들만 모아서 수업을 한 것이 아니라 책과 친하지 않은 학생들이 포함된 일반 학급에서 정규 수업 중에 실시한 내용을 담고 있다.
일반고, 특성화고, 과학고 등 다양한 수준의 학생들과 수업을 할 결과다. 책을 좋아하는 일반인들이 책을 읽을 때 이 방법을 적용하면 깊이 있는 독서가 될 것이라고 생각했다. 실생활에서 실천하면 도움이 될만한 방법을 두 가지만 추려 보았다.
독서일지 쓰기
독서일지 쓰기는 열 가지 독서 교육 중에서 가장 쉬운 방법이다.
다른 독서 수업보다 책을 읽는 행위에 좀 더 집중할 수 있다. 방법 면에서는 다른 독서보다 단순하다. 그러나 독서 후의 결과는 단순하지 않다.
책을 읽으면서 만난 인상적인 문장, 책을 읽으면서 든 생각, 그 외에도 쓰고 싶은 내용을 독서일지에 적어 둔다. 단순한 방법처럼 보이지만 책에 집중하도록 도움을 주고 책을 읽고 난 뒤에도 읽은 내용을 기억나게 해 준다.
학생이 아닌 일반인들이 책을 읽으면서 실천하기 가장 쉬운 방법이다. 수업 방법 면에서는 단순한 것처럼 보인다. 하지만 아이들이 책과 대화하도록 도와준다.
우리들도 일상 생활에서 실천하면 깊이 있게 책을 읽을 수 있다. 간단해 보이지만 책을 읽고 기록하는 것은 마음을 먹어야 가능한 일이다. 학교에서 책을 읽으며 기록하는 습관을 들인다면 졸업 후에도 훌륭한 독서 습관을 갖게 될 것이다.
진로 독서 서평 쓰기
책에 대한 평가를 쓴다는 것은 부담스럽다. 그러나 권위 있는 비평가가 아니더라도 우리는 각자의 생각과 느낌에 따라 책에 대해 평가할 수 있다.
진로 독서 서평 쓰기 수업은 진로와 관련 있는 책을 교사의 소개 혹은 학생에게 도움이 되는지를 판단하여 책을 선택하는 것부터 공을 들인다. 그 후 책 내용과 관련 있는 자신의 경험과 세상 이야기를 버무리고 책 전체에 대한 평가를 내린다. 책을 읽기만 하면 자신의 생각이 기억이 나지 않을 수 있으므로 독서일지를 작성하는 일도 병행한다.
독서일지를 쓰면서 책 한 권을 읽고 난 뒤에 서평을 쓰기 위해 쓸거리를 만드는 작업을 한다.
책을 봤을 때의 첫 느낌, 꿈을 키우는데 도움이 된 부분, 책 속에서 만난 인상 깊은 인물을 골라 소개하고 이유를 작성한다.
다른 책이나 TV, 인터넷, 영화, 뉴스 등에서 본 것이 읽은 내용과 관련이 있다면 써본다.
책을 통해 깨닫게 된 점, 앞으로 꿈을 이루기 위해 자신이 할 일 혹은 떠오르는 생각들을 쓰고 마무리한다.
내가 소개한 내용은 열 가지 독서 교육 수업 중 겨우 두 개에 불과하다. 내가 실천하기 쉬운 것만 골랐다. 책 후기를 쓰는 방법에 관한 책을 읽어도 글을 쓰려면 잘 되지 않아 블로그에 써두고 계속 참고하려고 한다. 책을 읽고 글을 쓰는 것은 날마다 도전이 된다. 반복하여 연습하면 조금 나아질 것이라고 믿으며 오늘도 쓴다.
한 학기 한 권 읽기 : 네이버 도서
네이버 도서 상세정보를 제공합니다.
search.shopping.naver.com